최근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예장(합동), 예장(고신) 등 주요 개신교 교단 총회에서 다시 한 번 가톨릭의 ‘이단성’ 문제가 논의되었습니다. 예장(통합)은 가톨릭을 이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은 반면, 예장(합동)은 “가톨릭은 이단이 확실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예장(고신)은 가톨릭의 이단성 여부를 내년으로 유보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교리적 차이를 넘어선 신학적 불신과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에서는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의 확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노력은 여전히 강경한 비판 속에서 제대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이 갈등이 종교 내부의 문제를 넘어서 한국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개신교와 가톨릭 간의 갈등은 단순한 신학적 논쟁을 넘어, 서로를 향한 비난과 불신의 골을 더욱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개신교는 가톨릭의 마리아 숭배, 교황 제도, 성례전 중심의 신앙 체계를 문제 삼고 있으며, 이를 기독교 본질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반면 가톨릭은 개신교의 비판을 종교적 편협성으로 받아들이며, 개신교가 가톨릭의 깊은 전통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종교가 본래 사회적 통합과 치유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종교 간 갈등은 오히려 사회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개신교와 가톨릭이 서로를 ‘사이비’로 규정하는 상황은, 종교가 사회에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백하는 셈입니다. 더욱이 이 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개신교 주요 교단의 목사들은 신학적 깊이보다는 자기 교단의 교리만을 강조하며 분열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갈등을 해소하기보다는 오히려 대립을 조장하고 있는 셈인데, 이러한 태도는 결국 대중의 종교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고, 나아가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까지 훼손시킬 위험이 큽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계속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개신교와 가톨릭은 모두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의 중심으로 믿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리적 차이를 이유로 협력보다는 대립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과 개신교 간 대화와 화합을 위한 노력은 없지 않았지만, 여전히 신학적, 역사적 불신이 대화를 가로막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 갈등은 종교 내의 문제가 아닌, 정치적 논쟁으로 확장될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습니다. 종교적 갈등이 국가의 정교분리 원칙과 맞물려 헌법적 논란을 일으킬 수도 있는 상황인데, 그로 인해 갈등의 해결은 더욱 멀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두 종교 간의 문제가 아닌, 국가와 종교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결국, 종교가 본래의 사회적 역할을 회복하고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 내부의 성찰이 필요합니다. 가톨릭과 개신교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공통된 가치를 바탕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종교가 사회를 치유하는 역할을 넘어, 오히려 사회의 갈등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에게나 큰 아쉬움을 남깁니다. 언제쯤 종교 간 대립이 화합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없다면, 우리는 이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현실 속에서 계속해서 무력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유튜브 댓글에서 서로 이단이라며 대립중인 개신교인과 가톨릭교인의 부끄럽고 유치한 추태
https://www.youtube.com/watch?v=TbQ7hqaQ6ZU
https://www.youtube.com/watch?v=-OuptwHkz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