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천진암과 주어사가 천주교의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의 역사가 소외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두 종교는 한국 역사에서 오랫동안 공존해왔으나, 이번 성지화 논란은 그간의 우호적 관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종교적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성지화는 어떻게 두 장소가 가톨릭 중심의 역사로 변모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로,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주던 역사적 장소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적 정체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주어사도 유사한 역사를 공유하며 천주교 순례자들이 찾는 성지가 되었습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행위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을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불교계의 분노를 자아냈습니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참여했던 역사적 장소로, 그 의미가 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주교가 이곳을 순례길로 개발하려는 것은 불교의 역사적 기여를 무시하는 행동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가톨릭 성지화 사업이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며,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다는 것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수백억 원을 예산으로 편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금이 특정 종교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종교적 중립성을 침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세금이 투입된 성지화 사업이 공공의 이익이 아닌 특정 종교의 신앙적 상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는 점은, 종교 간 갈등을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모든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국,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더욱 신중하고 공정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역사적 공존의 가치를 존중하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종교적 갈등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모두의 이해를 위한 대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