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톨릭 지도자를 나라에서 임명하는데 프란치스코 교황은 묵인

최근 교황청과 중국 간의 주교 임명 합의 연장은 종교와 정치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충격적인 사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하는 상황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으로, 많은 이들에게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종교는 본래 정치와 분리되어야 한다는 기본 상식이 무시되고 있는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러한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는 점은 더욱 실망스럽습니다. 교회의 독립성을 지키기보다는 정치적 타협을 수용하는 모습은 신자들에게 깊은 실망을 안기고 있습니다. 교황청은 “존중과 대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 존중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중국 정부의 탄압을 피해 지하에서 신앙을 지켜온 신자들에게 이번 합의는 기만으로 비춰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들은 이제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에서 신앙 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이것이 과연 진정한 종교적 자유라고 할 수 있을까요?

더욱이, 주교 임명이라는 중대한 종교적 결정이 이제는 국가의 허락을 받아야만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종교의 독립성이 말뿐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교황청이 중국 정부의 승인 없이는 주교를 임명할 수 없는 현실은, 종교가 정치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중국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과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국가의 지도자로 군림하며, 종교와 정치의 경계가 분명히 무너진 사례를 우리는 목격해왔습니다.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종교적 자유가 아닌 국가의 요구가 우선시되고 있습니다.

결국, 이번 합의를 통해 우리는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불편한 현실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신앙의 자유는 이제 중국 정부의 승인에 종속되어 있고, 종교 지도자의 임명조차도 교회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되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에 대한 명확한 대응을 하지 않는다면, 신자들에게 남는 것은 실망과 분노뿐입니다.

이제 "종교 지도자를 나라에서 임명한다"는 말이 단순한 농담이 아닌 현실이 되어버린 이 시점에서, 우리는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가 무엇인지 다시금 깊이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왜곡된 종교의 본질은 신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과연 어떤 미래를 바라볼 수 있을까요?

 

교황의 지난해 9월 몽골 방문 모습[AP 연합뉴스 자료사진 ]